티스토리 뷰
DApp
- App은 하나의 엔드포인트를 갖는다.
- DApp은 p2p로 연결되어 있다.
DApp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
DApp은 미들맨을 제거한다. Uber라는 유명한 App이 있다. Uber는 미들맨으로서 동작한다. 중간에서 고객과 드라이버를 연결해준다.
고객(서비스 받는 사람) - 우버(미들맨) - 드라이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
위 비즈니스 모델에서 미들맨 역할을 하는 App, 우버는 중개 수수료를 받는다. 그래서 고객은 더 많은 돈을 내게 되고 드라이버는 더 적은 돈을 받게 된다.
만약 미들맨(우버) 없이 고객과 택시 드라이버가 직접 연결되어 거래를 수행한다면 고객과 드라이버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같은 관점에서 Coinbase(CEX)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Uniswap(DEX)에서 해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미들맨을 제거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를 받는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 그것을 DApp을 통해 할 수 있다.
(물론 DApp을 사용할 때에도 수수료(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gas fee) + DApp 수수료)를 내기도 한다. 하지만 Uber나 Coinbase라는 회사에서 거대 인프라를 돌리기위해 소비자에게 받는 수수료보다는 작은 경우가 많다.)
DApp 주요 특징
- 데이터와 기록은 모두 공개되어야 한다.
- 암호화된 토큰과 안전한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 오픈소스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DApp의 주요한 특징으로 여겨지는 3가지 특징이다. 물론 DApp 중에는 이들 중 일부만 만족시키는 DApp도 존재한다.
DApp은 어떻게 미들맨을 제거하는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우버나 코인베이스 같이 신뢰할만한 회사가 중간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인베이스 대신 중간에 유니스왑으로 바뀌기만 한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처음 살펴본 그림자료와 DApp의 3가지 특징을 다시보자.
DApp의 3가지 특징
- 데이터와 기록은 모두 공개되어야 한다.
- 암호화된 토큰과 안전한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 오픈소스여야 한다.
우버나 코인베이스는 Apps 그림의 Data Center(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역할을 하는 중앙화된 통제 조직(의사 결정 조직)이다. 비즈니스 정책은 법이라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안에서 전적으로 우버나 코인베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소스코드 등은 데이터 센터 내 우버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만 보관되며 보통은 공개되지 않는다.
반면에 유니스왑과 같은 DApp들은 탈중앙화되어있다. 데이터나 기록, 소스코드 등은 모두 공개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올라가 있다. 비즈니스 정책 등은 거버넌스 토큰을 가진 참여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이유로 중앙화된 조직의 서비스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돌리는데 지속적으로 비용이 들어간다. 하지만 탈중앙화된 조직의 서비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배포하면 인프라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이 책임진다. 따라서 보통 중앙화를 유지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탈중앙화한 것이 그보다 적게 드는 경우가 많다.
중앙화된 App을 탈중앙화한 DApp은 중개인의 비용을 줄이기 때문에 미들맨을 제거한다고 말하는 것 같다.
DApp의 장점
- 하나의 중앙화된 조직이 데이터나 정보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로부터 검열된 정보를 받는 것도 피할 수 있으며 정보나, 서비스의 독점 조직이 무너졌을 때 발생하는 문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차선책이 존재할 수 있다.)
- 서비스의 다운타임을 제거할 수 있다. 서비스가 여러 대의 노드에 올라가서 p2p로 동작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원 중 일부에 문제가 생겨도 서비스 이용에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
- 오픈소스가 더 나은 생태계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DApp의 단점
-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해커들이 취약점을 찾는데 더 쉽다.
- Web2 & The Network Effect
- The current users compared to web2 are low rendering them less interactive and lower network effect often can be tied to the DApps overall security.
- The less user interaction, the less user database information, the easier it may be computationally for bad actors to take advantage.
DApp 예시
'블록체인 개발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에서 utxo (0) | 2022.02.17 |
---|---|
web1, web2 그리고 web3 (1) | 2021.12.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nft
- Proxy Pattern
- web3
- Upgradeable Contracts
- 스마트 컨트랙트
- 블록 탐색기
- Flutter
- avalanchego
- web3-token
- caver-js
- interface
- ganache
- swr
- Truffle
- Call
- 앱 아이콘
- metamask-extension
- 이더리움
- ethers.js
- Android
- caver.js
- 블록체인
- web3.js
- Hardhat
- erc20
- class
- typescript
- eslint
- JWT
- ERC721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