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서버에서 브라우저에 저장해둔 작은 데이터 블록.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해 둔다. (개인화, 추적 등의 목적)쿠키를 이용해서 서버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그 클라이언트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넣어둔다. 그러면 앞으로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은 그 쿠기와 함께 전달된다. 물론 쿠키는 도메인에 따라 제한된다. 특정 도메인에서 보내준 쿠키는 해당 도메인으로 요청을 보낼 때만 함께 전달된다. 그리고 쿠키는 유효기간이 있다. 그래서 서버가 정한 기간 동안만 유효하다. 쿠키는 인증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ko -> en)하는 요청을 서버로 보내면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길 원하는 언어 정보를 쿠키로 전달한다. 그 때부터 클라이언트는 ..
프로그래밍 이론
2021. 12. 22. 21:0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web3.js
- JWT
- metamask-extension
- Call
- web3-token
- Hardhat
- swr
- erc20
- caver-js
- 블록체인
- Upgradeable Contracts
- typescript
- ganache
- 스마트 컨트랙트
- ethers.js
- class
- interface
- Android
- ERC721
- Flutter
- 이더리움
- caver.js
- avalanchego
- web3
- Truffle
- 앱 아이콘
- nft
- 블록 탐색기
- Proxy Pattern
- eslin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